한국 경제 이슈 키워드 TOP 5 정리 - 2025년 7월 5일

반응형
반응형

우경이 준비한 2025년 7월 5일 기준 대한민국 경제 분야의 주요 키워드 5가지와 상세 설명, 관련 기사 링크입니다.


1. 국회, 31.8조원 규모 ‘추경안’ 의결

7월 4일, 국회는 정부안을 초과한 31.8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최종 의결했습니다. 이는 소비 진작을 위한 현금 및 상품권 지급, AI 인프라 투자,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등에 집중된 예산으로, 경기부진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재원 중 약 21.1조원은 국채 발행으로 충당돼 국가채무비율이 GDP 대비 49.1%, 재정적자율은 4.2%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0.8%로, 해당 추경이 경기 회복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지 주목됩니다.

👉 관련 기사 보기 (Reuters)


2. 美 관세 ‘동결 연장’ 협상 임박

7월 9일 종료 예정인 미국의 대한국 관세 동결 조치를 연장하기 위해 통상교섭본부장 여한구가 워싱턴으로 출국했습니다. 미국은 자동차·철강 등 주요 산업에 최대 25% 관세 부과를 재개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한국에는 농축산물·디지털 시장 개방, 에너지 구매 확대를 요구 중입니다. 협상 결과는 수출 중심인 한국 경제에 직격탄이 될 수 있어 민관이 긴밀히 협력해 실리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Reuters)


3. 제조업 PMI 5개월 연속 위축, 회복 흐름 감지

6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는 48.7로, 5개월 연속 50 이하를 유지해 경기 둔화를 나타냈지만 전월(47.7) 대비 상승하며 회복 조짐을 보였습니다. 이는 수출 여건 악화 속 내부 소비 회복과 제조업체들의 낙관적인 경기 전망이 가격 인상 인플레 압박 완화에 긍정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다만, 미국·일본·중국 수요 둔화는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부는 경기부양책 추가 도입과 수출 기조 강화로 대응 중입니다.

👉 관련 기사 보기 (Reuters)


4. 말레이시아, 한·중·베트남 철강에 반덤핑 관세

7월 5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중국, 한국, 베트남산 철강 제품에 대해 3.86%~57.9% 범위의 예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한국 철강 수출 기업에 새로운 수출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주요 수출국의 무역정책 변화가 우리 산업 경쟁력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와 업계는 다자·양자 협상과 WTO 대응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Reuters)


5. 5월 경상수지 흑자 25개월 연속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101.4억 달러로, 25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상품수지 흑자는 106억 달러를 기록했고 서비스수지 적자가 축소된 것이 전체 흑자 유지 요인입니다. 이는 수입 감소, 원자재 가격 안정, 관광 수요 회복 등이 복합 작용한 결과로 외환 리스크 완화 및 경기 기초체력 유지에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JoongAng)


🧾 이슈 요약 테이블

순위 키워드 요약
1 31.8조 추경안 예산 확대 통한 경기 부양 기대
2 美 관세 동결 연장 수출 방어 위한 외교 협상 임박
3 PMI 제조업 위축 회복 조짐 있으나 불확실성 잔존
4 말레이시아 반덤핑 철강 수출 추가 장벽 우려
5 경상수지 흑자 지속 경제 기초체력 유지 신호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